EXIF ViewerUnknown|1970-01-01 09:00:00|(s)|(mm)|1100x727|Not Fired
* 소용돌이은하 외에도 작은 은하들이 보입니다
작게 보이는 별들도, 별이 아닌 은하일 경우도 많습니다.
EXIF ViewerUnknown|1970-01-01 09:00:00|(s)|(mm)|1100x733|Not Fired
* M 51 소용돌이은하는 제가 심우주 사진을 시작 하도록 동기가 됬던 은하 입니다
심우주 사진을 촬영하는 분들에게는 비교적 촬영과 보정이 쉬운 대상 이지만
저에게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대상이라서 자주 담습니다
그래도 아직 만족할만한 결과는 못본상태 입니다
* 심우주사진은 약 30시간 정도의 촬영 데이터가 있어야 디테일과 색의 발현이
어느정도는 됩니다
한대상을, 봄철인 요즘 기준으로 하룻밤에 6~7시간 담으니 대략 4일밤은 밤아야 하는데
아직 한 대상을 그렇게 담아보지는 못했습니다
* 그러나 심우주 사진의 특징은 이미 촬영해 놓은 데이터에 추가로 촬영 데이터를 혼합하여
질을 높일수 있어서
몇가지 대상을 정하고 대상별 데이터를 수집 하는중 입니다
* 때가되면 어느정도의 이미지를 다시 업로드 하려고 합니다
* 2025년 4월 25~26일. 인제군 기린면 진동리 에서.
* M 51 소용돌이은하 / 거리 : 2600만 광년. 크기 : 직경 6만광년 (태양계가있는 우리 은하의 직경은 10만광년)
분류 : 나선은하, 충돌은하 (두개의 은하가 충돌중 입니다)
별자리 : 사냥개자리 (북두칠성 국자 손잡이 끝 부근에 있습니다)
1773년 천문학자 샤를메시에 의해 처음 발견 됬습니다